한국관세 25% 아닌 26%??? 계속 올라가는 관세
트럼트가 나와서 한국 관세 이야기할때 처음엔 그냥 숫자 하나 틀린 줄 알았습니다.
한국 관세가 25%라고 했다가, 알고 보니 26%.
1% 차이?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이게 트럼프 입에서 나왔다면 얘기가 달라지죠.
한국을 머니 머신이라고 이야기한 트럼프인데 이제 사골까지 끓여먹으려하네요.
이건 더 이상 그냥 ‘실수’로 넘길 문제가 아닙니다.
정책의 방향성과 메시지를 읽어야 할 때라는 거죠.
숫자 하나가 다르다고요?
며칠 전, 백악관 로즈가든.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적용할 상호관세율을 발표하며
패널을 하나 딱 들고 나왔습니다. 한국은 25%라고요.
근데 웃긴 게 뭔지 아세요?
백악관이 공식적으로 공개한 문서(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한국만 그런 것도 아니에요.
인도, 필리핀, 스위스 등도 마찬가지.
패널은 25%, 문서는 26%.
백악관 관계자는 이 차이에 대해
"공식 문서는 부속서니까 그걸 따르세요."
라고 했을 뿐, 왜 다른지는 설명 안 했습니다.
그러니까…
“쇼용 슬라이드”와 “진짜 정책”이 따로 놀고 있는 거예요.
트럼프, 다시 왔고 더 세졌다
중요한 포인트는 이겁니다.
트럼프는 다시 대통령이 됐고,
그가 했던 방식 그대로 다시 밀어붙이고 있다는 것.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America First’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다만 이제는 1기보다 더 노련하게, 더 전략적으로 적용된다는 게 문제죠.
트럼프식 무역 전략은
- 관세를 압박 카드로 쓰고,
-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수치를 던지고,
- 그 과정에서 동맹국도 예외가 없다는 게 특징입니다.
한국이든 유럽이든, 이 사람에게는 ‘무역 흑자국 = 관세 대상’이에요.
한국 입장에선 웃을 수 없는 1%
1% 차이라 별거 아닌 것 같지만,
그 뒤엔 기업 전략이 달려 있고, 환율이 흔들리고, 투자 심리가 요동칩니다.
우리가 트럼프 스타일을 이미 겪어봤잖아요.
그때 철강·자동차 업계, 한동안 얼마나 힘들었는지 기억하시죠?
이번에도 마찬가지예요.
정확한 기준 없이 던지는 숫자,
그리고 그걸 뒷받침하는 공식 문서의 불일치.
예측이 안 되니, 기업은 보수적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고
정부는 다시 ‘정책 리스크 관리 모드’로 들어가야 하죠.
이젠 그냥 버티는 걸로는 부족합니다
이전엔 “트럼프야 지나가는 태풍이겠지”라는 생각이 있었어요.
근데 이제는 다릅니다.
그가 다시 집권했고, 최소 4년은 이 정책을 끌고 갑니다.
우리는 진지하게 대비해야 합니다.
✅ 미국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무역 다변화 전략
✅ 관세 따위에 휘둘리지 않을 기술 자립성 확보
✅ 트럼프식 ‘관세 협박’에도 버틸 수 있는 국제 협상력
이런 게 실제로 필요해졌어요.
막연한 외교적 유화 메시지만으로는 대응이 안 됩니다.
결론: 이제는 숫자 하나도 가볍게 보면 안 된다
25%냐 26%냐는 그냥 수치 같죠?
근데 이건 단순한 착오가 아니라,
정책의 신호고 협상의 방식이고 국가 간 신뢰의 문제예요.
앞으로 한국 경제가 살아남기 위해선
이런 신호를 빨리 포착하고, 민첩하게 움직이는 감각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한마디.
제발 다음부턴 패널이랑 문서 숫자 정도는 좀 맞춰주세요.
세계 경제가 장난은 아니잖아요?
이제 진짜 '트럼프 시즌2'가 시작됐고,
그 첫 장면에 한국도 제대로 휘말린 셈입니다.
긴장하고, 준비하고, 버텨야 할 시간이에요.